- 유기 동물을 입양하고 싶거나 관심 있는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는 커뮤니티입니다.
- 입양에 대한 정보와 관련 이야기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 국내 반려 인구 1500만 명 시대로 접어들었지만 유기되는 동물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조금이나마 개선되기를 바라며 유기 동물과 사람을 이어주는 커뮤니티 프로젝트를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 반려in의 목표는 단순히 유기 동물을 찾아주는 데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유기 동물에 관심 있는 사용자들이 모여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고 많은 동물들이 새로운 주인을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반려in은 커뮤니티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만큼 경험이나 정보 공유도 가능합니다. 새로 생긴 가족이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원하는 정보를 커뮤니티에서 찾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구성 | 사용 스택 |
---|---|
Frontend | JavaScript |
Backend | Node JS, Express |
Server | heroku |
DB | MongoDB, mongoose |
-
사람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반려 게시판
- 자신이 입양한 동물들의 사진 등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찾고자 하는 글이 있다면 작성자, 제목, 내용으로 검색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 게시물에 댓글을 달아 게시물 작성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
유기 동물을 찾아주는 보호 게시판
- 공공데이터 API를 활용하여 데이터에 등록된 유기 동물들의 정보를 찾아줍니다.
- 조건별로 검색하여 원하는 조건의 동물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메인 페이지
- 처음 접속했을 때 보게 되는 메인 페이지입니다.
- 간단한 유기 동물 통계와 각 게시판의 최근 6건의 게시물을 미리보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마이 페이지
- 사용자 편의 관련 페이지입니다. 기존 카카오 프로필에서 가져온 닉네임을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자신이 쓴 글이나 댓글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 시 해당 게시물로 이동하며, 댓글의 경우 옆에 있는 삭제 버튼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름 | 담당 업무 |
---|---|
이태현 | 팀장/프론트엔드 개발 |
고은채 | 프론트엔드 개발 |
황원준 | 프론트엔드 개발 |
김유림 | 프론트엔드 개발 |
김동근 | 백엔드 개발 |
이창혁 | 백엔드 개발 |
-
프론트엔드 담당
- 기획 단계: 와이어 프레임 작성, 구체적인 설계와 지표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서 작성
- 개발 단계: 팀원 간의 일정 등 조율 + 프론트 or 백엔드 개발
- 수정 단계: 기획, 스크럼 진행, 코치님 피드백 반영해서 수정, 발표 준비
-
백엔드 담당
- 기획 단계: 데이터 수집, 큰 주제에서 문제 해결 아이디어 도출, 데이터 수집, 와이어 프레임 작성
- 개발 단계: 와이어 프레임을 기반으로 구현, 데이터 처리 및 시각화 담당, UI 디자인 완성
- 수정 단계: 피드백 반영해서 프론트 디자인 수정
- 2021.12.26. v1.0.0 - alp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