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chnical interview knowledge that a junior backend developer should possess.
- tech-interview-for-junior
- 주니어 개발자 인터뷰 가이드(2024.04.20 한빛미디어 세미나)
- 책 소개
- 회사가 선택하는 주니어 개발자의 기준
- 인기있는 질문들
- 사전 질문 및 Q&A
- 끝맺음
Table of contents generated with markdown-toc
2024.04.20 한빛미디어 세미나자료 입니다. 신입 및 주니어를 대상으로 하였고, 더 자세한 내용은 책(개발자 기술면접 노트 를 참고하세요.
Yes24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5554439
KyoboBooks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738756
- 카카오 비즈파트너플랫폼 개발 리드
- KAKAO Corp (2018 ~ Now, Leader)
- LG Fashion (2017 ~ 2018, Senior Manager)
- Coupang (2013 ~ 2017, Sr.Software Engineer, L5)
- Freelance Developer (2008 ~ 2013)
- Samsung Electronics OSP 2.5, AA, Manager
- SK Telecom T-Gate, AA/TL, Manager
- GS Homeshopping E-Commerce Platform Developement, developer
- Personal : https://github.com/gliderwiki/gliderwiki
- for Book : https://github.com/haru-note/tech-interview
- for Study : https://github.com/villainscode
-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codevillains
- email - villainscode@gmail.com
책을 집필한 이유
- 직접 채용을 해야 하는 환경에서 서류 검토와 기술 면접에 참여해보니 준비가 미흡한 지원자들이 꽤 많이 존재함.
- 상위권 대학을 졸업하고 꽤 큰 기업에서 일을 했으나 본인을 잘 포장하지 못하는 지원자 혹은 기술적 성장의 진로를 잡지 못해 고민인 지원자들을 보며 “왜?” 를 고민하기 시작
- 어떤 부분에서 취업/이직에 대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가이드를 해줘야 할까?를 고민
- 내가 가지고 있는 자료로 충분히 도움을 줄 수 있을거 같다고 결론을 얻고 책을 쓰기 시작
- 초기에는 책 보다는 오픈소스처럼 온라인 퍼블리싱을 기획하여 자료를 취합하기 시작
- 최대한 실행 가능하고, 현실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방법을 제시하려고 노력함
취업/이직을 위해서 어떤 부분을 준비해야 할까?
-
서류 작성
- 오프라인 제출용 서류는 항상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온라인은 링크드인을 기준으로 두세곳 등록해 놓는다.
- 필수 개인정보를 제외한 나머지는 공간 낭비/시간 낭비
- 지원 분야 명시
- 지원 분야의 개발 경험이 있다거나 이미 경험한 도메인이 있다면 유관 부서에 지원하는 편이 좋다.
- 지원 동기
- 관심있게 공부하고 있는 분야
- 회사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
- 스킬셋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자. (하단 주니어 개발자 스킬 셋 예시 참고)
- 스킬셋의 숙련도를 표기하자.
- 메이저 기술만 넣고 나머지는 경력 기술서의 프로젝트 수행 내역에 넣도록 한다.
- 교육사항도 가급적 이력에 도움이 될 만한 곳이라면 표기하는게 낫다.
-
포트폴리오 / 경력 기술서
-
경력사항은 한 눈에 보이도록 간결하게 적는다.
-
눈에 띄는 이력서
- 오픈 소스 관련 활동
- 테크 관련 세미나에 연사로 참여한 이력
- 책 집필, 번역이나 팀 프로젝트로 성과를 내었던 경험
- 대체로 많은 신입 지원자들은 팀 프로젝트 위주이거나 개인 프로젝트 위주
- 무엇을 했는지와 어떤 역할을 했는지가 중요
- 대체로 많은 신입 지원자들은 팀 프로젝트 위주이거나 개인 프로젝트 위주
- 잘 정리된 블로그나 Github
- 그러나 챗GPT의 등장으로 블로그도 복붙이 많아 점점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 블로그가 없다면 차라리 Github를 포트폴리오 처럼 꾸며보자.
- https://github.com/haru-note/tech-interview
- https://github.com/goldbergyoni/nodebestpractices
-
서비스 운영 중의 문제 해결과 성과
-
포트폴리오 정리
- 개발 목표와 의도
- 주요 기능
- 시스템 개요 (시스템 디자인, 아키텍처)
- 본인이 담당한 영역과 기여도
- 소스 리포지터리 주소
- 나를 알리는 것을 어색해하거나 게을리하지 마세요.
- 하지만 최대한 간결하게, 한 눈에 들어오게 작성하세요.
- 도식화 하세요.
- 노션보다는 PDF나 구글 Docs를 사용하세요.
-
가장 중요한 한가지 조건과 나머지 양보할 수 있는 조건을 나눠보자.
나에게 맞는 회사는? 나에게 적합한 회사를 찾는 방법
-
IT 전문 구인/구직
- 원티드 (https://www.wanted.co.kr)
- 프로그래머스커리어 (https://career.programmers.co.kr)
-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
- 리멤버 (https://rememberapp.co.kr/home#)
- 로켓펀치 (https://www.rocketpunch.com)
- 블라인드 하이어(https://www.blindhire.co.kr)
-
기업의 평판이나 연봉/매출 정보 참고
- 잡플래닛 (https://www.jobplanet.co.kr/job)
- 크레딧잡 (https://kreditjob.com)
- 블라인드 (https://www.teamblind.com/kr)
- 테크컴퍼니즈 (https://techcompanies.kr)
-
투자 유치 뉴스를 통한 성장하는 회사 알아보기
-
뉴스레터 구독
- 스타트업 위클리 (http://glance.media)
- 긱뉴스 (https://news.hada.io)
- 기타 IT 뉴스 사이트
-
멘토링, 교육
- 커피챗
- 커리어리
- 인프런
-
커리어에 포인트를 줄만한 영역들, 지식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들…
-
계단식 성장
- 성장기와 정체기
- 정체기는 몸이 적응하는 시기
- 정체기 이후 한단계 점프 업
- 한 계단씩 성장하며 성취감을 느끼는게 중요
- 꾸준한 성장도 가능하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노력에 대한 보상은 계단식으로 온다.
- 성장기와 정체기
-
스터디
-
비효율적일수는 있지만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 가장 많이 코드와 지식을 쌓을 수 있다.
-
책으로 끝나는 스터디보다는 코드의 구현과 기술 습득에 중점
-
“우리는 프로그래머니까 코드를 돌려봐야 하지 않겠어?”
- 동작하는 코드를 왜? 라는 질문으로 이해하기
- 왜 이 기술을 적용했는가?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스터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두가지
- 끝까지 완주하는 인내심과 성실함 (꾸준함)
- 공부한 것을 정리하는 노하우 터득 (지식 정리)
- 문서는 남이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 스터디 예시
- 몽고DB 파헤치기 (도서 『Real MongoDB』 완독 및 발표 자료 정리)
- 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Go 스터디 (Go를 이용한 기초 문법과 애플리케이션 개발해보기)
- AWS+Spring Boot 3.0 활용 (자바 언어를 기반으로 스프링 부트 활용하기, AWS 기반의 백엔드 서버 구축해보기)
- Docker와 Kubernetes 파헤치기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과 배포, 운영)
- 신입으로 지원한다면 아래의 주제가 스터디로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 CS 기본 지식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퀴즈 풀기 및 온라인 코딩 테스트 초급레벨 도장깨기
- 언어 스펙 공부 (문법과 코드 활용 스니펫 정리)
- 프레임워크 뜯어보기 or 활용해서 프로젝트 만들기
-
내 기술적 시야를 넓혀줄 수 있는 프로젝트로 시도하자
-
동작 원리와 기술적 개념을 훈련할 수 있는 주제면 더욱 좋다.
- 소셜 로그인 - 미니 WAS - 미니 HTTP 서버 - 간단한 채팅 - 알림 시스템 - ShortenURL - 간단한 REST API 호출기 - 공공정보를 수집해서 가공
무엇인가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어필해야 한다.
-
-
-
팀프로젝트
- 개인 보다는 여러명이 진행하는게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힐 수 있다.
- 개인적인 사이드 프로젝트보다 팀을 꾸려보고 어떤 부분에 기여 하였는지 참여한 것을 어필하는 것이 유리
- 팀웍이란? 협업이란? - 개인 프로젝트보다 팀 프로젝트가 더 어필하기 좋다.
-
알고리즘 관련 공부를 시작하기 위한 단계별 학습 로드맵.
결국 코딩 테스트를 통해 1차 필터링을 하겠다는 의도가 강하게 작용하는 관문으로 3개월 정도는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한다.
책에 자세한 공부 방식과 코딩 테스트 예제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기술 면접을 위한 첫 관문, 채용의 첫 허들로 제일 많은 지원자들이 탈락한다. 코딩 테스트에 부담을 많이 느낀다면 아래의 로드맵을 통해 접근해보자.
-
프로젝트 오일러 (https://euler.synap.co.kr)
-
간단한 알고리즘 퀴즈
-
정렬과 자료구조
-
알고리즘 전문 사이트를 통한 지식 습득
- 프로그래머스 (https://school.programmers.co.kr)
- 해커랭크 (https://www.hackerrank.com/)
- 리트코드 (https://leetcode.com/)
- 코딜리티 (https://app.codility.com/programmers/)
-
신입 / 저연차주니어가 알아야 할 CS 지식
- 컴퓨터 시스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650856
- OS (유닉스, 리눅스)
- 네트워크와 인프라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데이터베이스 (SQL을 기본으로 한 RDBMS의 구조와 활용)
- 기초 수준의 시스템 디자인
- ER 다이어그램을 포함한 기본 다이어그램 (Sequence Diagram)
-
코딩 테스트 대비
-
실제 기술 면접에서 알아두어야 할 지식 (아래로 내려 갈수록 연차가 쌓이면 알아두어야 할 지식)
- CS,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 CPU와 메모리
- 데이터베이스와 트랜잭션
-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인프라
-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 개발 언어 (Python, Go, Java, Kotlin등)
- 프레임워크 (Spring, Django, Gin등)
- 시스템 디자인, 엔티티 설계
- OOP와 대표적인 디자인 패턴
- 개발 전반에 걸친 Software Engineering
- 애플리케이션의 장애 트래킹과 문제 해결 방법
- 성능 개선, 애플리케이션 튜닝, SQL 튜닝
- 비동기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
- 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
- 클라우드 환경의 인프라에 대한 이해
- 컨테이너 플랫폼 환경의 이해
채용은 결국 같이 일할 사람을 뽑는 활동
‘같이 일할 수 있는 사람’의 기준
- 잘 협업할 수 있는 동료인가?
- 그라운드 룰을 지킬 만한 사람인가?
- 보편 타당한 사고 방식을 지향하는 사람인가?
- 너무 고집센 사람은 아닌가?
- 너무 강한 화법을 가진 사람은 아닌가?
- 혼자 일하는 것만 좋아하는 사람은 아닌가?
- 개인 플레이를 넘어 이기적인 동료는 아닌가?
채용 사이트에서 본인의 기술 스택이랑 일치하는 회사로 검증해보자. https://www.wanted.co.kr/wdlist/518?country=kr&job_sort=job.recommend_order&years=-1&locations=all
아래는 가상의 채용 공고를 분석해본 사례이다.
- 3년 이상의 백엔드 개발 경력 또는 이에 준하는 경험이 있는 분
- 파이썬, 자바, 코틀린 중 한 개 이상의 충분한 개발 경험이 있는 분
-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을 이해하고 있는 분
- MSA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있는 분
- 비동기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가 있는 분
- AWS 기반 하에서 개발 및 운영 경험이 있는 분
- 개발 유관 부서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긍정적인 사고를 지닌 분 |
- Git-Flow, Gitlab-Flow 등의 워크플로 방식을 활용한 협업 경험이 있는 분
- 다양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failover 처리 및 각종 장애 극복 경험이 있는 분
- 대규모 트래픽이나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경험이 있는 분
- 언어와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분
- 오픈 소스 혹은 개발 커뮤니티 활동 경험이 있는 분
- 쿠버네티스 기반의 개발 및 운영 경험이 있는 분
- 주요회사에서 요구하는 기술 스택에 대해서 알수 있다.
해당 조건에 나는 얼마나 (기술적으로) 부합하는가?를 판단해보자. 채용기준의 4, 5번으로 볼 때 MSA와 비동기 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책에 더 자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 평판 관리 - 옆부서에서 나를 데려갈까? 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사람인가?
- 자기객관화 - 내가 동료들에게 기대하는 기술적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동료들이 나에게 기대하는 기술적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 내가 자신있는 영역은 무엇인가? 남에게 설명할 때 막힘없이 나오는 수준인가?
- 내가 부족한 영역은 무엇인가?
- 내가 면접관이면 나의 어떤 면을 보고 긍정적으로 평가할까? 나는 나를 뽑을수 있을까?
- 내가 한 일, 내가 하지 않은 일
- 내가 추구하는 개발 방법론, 올바르지 않은 개발 방식
- 부풀리기 금지
- 보통의 노련한 면접관들은 지원서에 작성한 업무가 거짓인지 아닌지 판단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 OOM문제를 해결 했다 → 왜 발생 했는가? 어떤 조치들을 해보았는가? 어떤 방식으로 해결했는가?
- OOM은 결과적으로 힙 공간 부족으로 인한 JVM의 메모리 할당 이슈인데? 올바른 대답과 올바르지 않은 대답은?
역량 - 사전적 의미로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 성과를 내는 능력, 기능을 향상시키는 능력
결과적으로 일이 되게 하는(이끌어 가거나 만들어 내는) 능력
- 경험
- 기술지식
- 커뮤니케이션
세부적으로는
- 업무 분석 능력
- 데이터의 흐름
- 호출 연관 관계
- 비즈니스 요구사항 분석
- 업무의 정책과 관련된 코드 분석
- 큰 그림을 그리는 능력과 그 안에서 디테일을 챙기는 영역
- 프로그래밍 구현 능력
- 문제 해결 능력
- 도메인의 이해
-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 기술 지식을 정리하고 전파하는 능력
학습 속도가 빠르고 고착화된 습관이 없어서 무엇이든 흡수하고 받아들이기 좋은 시기 가장 중요한 덕목 : 태도, 성장에 대한 욕구
하드스킬
- 한가지 이상 언어에 대한 공고한 이해 (예, Javascript, Java, Go, Python)
- 자료구조/알고리즘을 포함한 전반적인 CS 지식 (전공자 수준의 지식)
- 서버 및 인프라에 대한 이해
-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해
- 클라우드 혹은 컨테이너 환경에 대한 이해 (Optional)
- Git
- CI/CD
소프트스킬
- 문제 인식과 해결 능력
- 학습 능력, 기술적 성장에 대한 의지
- 의사 소통
- 팀 워크, 협업에 중점을 둔 커뮤니케이션
예시) 자바 기반의 백엔드 주니어라고 가정
- Java, Spring, JPA (상)
- JavaScript, Handlebars (상)
- DBMS (MySQL, Oracle 상), NoSQL (MongoDB 중)
- Python, Node.js (하)
- 기타 개발 툴 및 개발 환경
- IntelliJ, Git, Jenkins, AWS (단독으로 서버 설정 및 배포 가능)
- RESTful API 설계 및 개발 운영 (3년 이상 경험)
- MSA 설계 및 개발 경험 (1년 이상 경험)
예시) 프런트엔드 주니어라고 가정
- JavaScript , TypeScript
- Node.js, Next.js, React, Vue.js
- Webpack, Babel, Vite
- 기타 참고 사항
- MFA(Micro Frontend Architecture) 개발 경험,
- 프런트엔드 성능 개선 경험
- 테스트 자동화 도구 활용 경험
[1순위] 개발에 대한 호기심
- 개발에 흥미가 있고 열정이 있는 지원자인가?
- 기본적인 언어 하나 정도의 스펙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큰 어려움 없이 구사할 수 있는가?
[2순위] 성장 욕구
- 성장에 대한 욕구가 확실하고 자기 계발 의지가 있는가?
[3순위] 전공 이해도
- 전공 지식에 대한 공고한 이해, 학업 이외에 본인이 관심 갖는 분야에 지식을 꾸준히 쌓고 있는가?
[1순위] 유사한 업무 경험과 문제 해결 능력
- 기본기가 탄탄하여 경험치만 쌓이면 충분히 팀에 기여할 수 있는가?
- 해당 업무에 경험을 쌓았는가?
- 업무에 몰입하고 주어진 업무에 최선을 다할 수 있는가?
- 연차에 비례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
[2순위] 현재 보유한 실력과 성장 가능성
- 연차가 높을 경우 팀 내에 투입했을 때 즉시 전력 감인가? 즉, 바로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사람인가?
- 연차가 낮을 경우 잘 리딩해주면 따라올 만한 탄탄한 기본 지식을 갖추었는가?
[3순위] 적극적인 자기 계발 의지, 꾸준한 노력 및 도전
- 현재 공부하고 있는 분야가 회사가 방향과 일치하는가? 즉, 목표로 한 회사의 기술 스택을 미리 공부하고 경험하려고 노력하였는가?
- 꾸준히 학습을 통해 성장하고자 하는가?
- 본인이 좋았다고 느낀 개발 관련 서적이나 기술, 본인의 공부에 도움이 된 소스 등 자신의 노력에 대해서 면접관과 대화가 가능한가?
- 비교적 일관성 있는 커리어 관리가 필요하고 팀내 주니어들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량을 보유해야 함.
- 특정 제품군에 국한된 기술인가?
- 서드파티의 수명과 연관되어 있는가?
- 이제 더 이상 IT 측면의 내재화를 기대하기 힘든 산업인가?
- 올라운드 플레이어
회사마다 면접자를 평가하는 항목들이 존재한다.
- 뽑아야 한다면 이유는 무엇인가?
- 뽑지 말아야 한다면 이유는 무엇인가?
- 구체적인 행동 양식 기반 평가와 질문들 (Behavioral Interviewing Technique)
- 지원자의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의 행동을 예측하는 면접 기법
- 개인의 성격이나 가치관과 같은 영역을 기준으로 특정 상황에서 어떤 행동들을 하는가를 평가하는 방식, 조직 적응력이나 팀워크, 컬처핏등을 알아보기 위함
- 버그(장애)를 어떻게 디버깅하고 추적하는지?
- 다른 개발자와 일하면서 겪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 회사의 입장과 개인의 입장
- 회사나 동료에게 영향을 미친 경험 (긍정이든 부정이든 혹은 반대의 상황에서 대처법)
- 성취감이 높았던 순간은?
- 무리한 요구사항이 전달되었을때 본인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STAR 질문 작성법
Situation:과거 상황을 설명
Task:당시 수행해야 했던 업무를 설명
Action:당시 취했던 행동을 설명
Result:행동의 결과를 설명
평가서 기반 살펴보기
- 꾸준한 성장, 계단식 성장을 위한 나의 노력을 잘 포장해서 이력서를 제출하자.
- 꾸준한 노력은 결국 작은 성취감들을 통해서 보상받을 수 있다.
- 성취감 = 꾸준해야 나오는 결과물 = 자그마한 성취가 모여 큰 성취를 만든다.
- 쾌감 보수 시스템
해결한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리하자.
- 해결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했는가?
- 해결까지는 완벽하게 못했지만 방향성을 확인했는가? 방법을 유추할수 있는가?
-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작은 해법(실마리 발견)부터 확장된 해법(솔루션 발견)까지 제시하였는가?
- 개발하면서 대부분은 생기기 마련이고, 이를 잘 정리해두고 깊게 파봐야 한다.
주니어 레벨에서 갖추어야 할 것
- CS를 기본으로 하드스킬, 소프트 스킬을 내것으로 만드는 노력
- 성장을 위한 욕구, 개발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
좋은 코드, 견고한 소프트웨어가 무엇인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본인의 생각을 정립해야 한다.
- 좋은 코드란?
- 사람마다 다르게 정의하는 영역
- Code As Docuementation by Martin fowler
https://github.com/devoxx/JavaRoadmap/blob/main/JavaRoadmap2024.jpg
- 조직의 리드, 업무 관리, 일정 관리, 주니어 성장
- 코드의 품질, 장애의 개선과 방지
-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와 스케일링
- 비즈니스 도메인에 대한 설계 능력
- 비 기능적 (NFR) 요구 사항에 대한 처리 방법 (확장성, 안정성, 가용성, 모니터링)
- 대량의 트래픽, 대용량 데이터 분산 처리에 대한 학습
- 기술 부채 관리
- 기술 부채로 인한 업무 속도의 저하, 소스포비아로 인한 부작용들로 인해 관련 개발 조직의 번아웃이 온다.
- 결함/버그 추적, 관리
- 문서화
- 테스트 및 자동화
- 아키텍처 개선
- 코딩 가이드, 코드 리뷰 가이드 배포
샤딩과 파티셔닝
- 대표적인 분산 저장 처리 방식 - 여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분할하여 저장하는 것을 의미함.
- 그러나 운영 및 인프라 복잡도가 굉장히 커지므로 가급적 최대한 다른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찾아본 뒤에 적용.
- 불가피할때나 적용해야한다.
샤딩을 피하고 싶어서…
- 캐싱
- 수직 스케일링
- SQL 최적화
- 읽기 Replication
- 구조개선
- 파티셔닝 - 단일 데이터베이스내에서 데이터를 분할
초대용량 - 쿼리튜닝, 캐싱, 데이터 분할 저장으로도 해결이 안된다면?
- 스케일업-하드웨어 개선, NoSQL 검토 (Cassandra, CouchDB, HBase, 그래프 디비 등), MemSQL(SingleStore)
참고이미지 (시각화하면 더 이해하기 쉬워요)
아래의 한장이미지는 구글에서 db sharding 으로 검색한 후 이미지 탭(옛 트위터 Alex Xu 글)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는 https://architecturenotes.co/database-sharding-explained/ 를 참고하세요.
언어나 프레임워크는 스스로 스펙을 명확히 파악하셔야 합니다.
책에 더 자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외우지 마시고 이해해야 합니다. 코드로 구현해서 테스트를 해보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실험하세요.
- 프로세스와 스레드
- 동시성과 병렬성
- Dead Lock, Transaction 격리레벨, 트랜잭션 락
- DROP, TRUNCATE 차이점
- JPA 1차 캐시, 2차 캐시, OSIV, N+1 문제
- JPQL과 QueryDSL
- 브라우저에서 domain을 호출한 뒤 페이지가 랜딩되기 까지의 아키텍처와 흐름
- Map, Set, List
- Stack과 Queue
- Tree와 Heap
- HashMap과 HashTable
- http와 https
- CORS
- 기본키(Primary key), 외래키(Foreign key), 복합키(Composite key)
- 테이블과 인덱스, 인덱스의 활용
- Mutable과 Immutable
- Session과 Cookie, Session Storage
- IoC와 DI
- Filter와 Interceptor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 RESTFul Architecture
- Proxy와 Reverse Proxy
- SQL Injection과 XSS,
- OAuth, JWT, Token
- MicroServices Architecture
경험이 부족한 영역은 간접학습(책, 온라인 커뮤니티, 멘토링, 동영상)을 꾸준히 찾아서 보세요.
면접도 경험치의 영역이다. 탈락을 두려워하지 말자.
-
서류만 계속 탈락한 경우 이력서 리뷰, 첨삭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 여러 버전의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를 가지고 AB테스트를 해보자.
-
타인의 평가를 받아드려야 한다.
-
정말 준비가 막막하다면 멘토링을 받자.
- 기술면접, 인성면접, 연봉 협상 등 다 경험치의 영역이다.
-
인터넷에 있는 질문 목록을 외워서 답변해봐도 사실 큰 도움은 안될 수 있다.
-
메타인지
-
2차 공격과 내 예상 보다 더 깊은 질문들…
-
1 Depth 질문과 2 Depth 질문, 그리고 이어지는 3 Depth 질문을 고민해야 한다.
- 성격의 장점에 문제해결 중심적으로 사고한다고 적었는데, 대표적인 사례는?
- 그 사례로 사용자 혹은 회사가 얻은 이익은?
- 그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은 뭐가 있을까?
- 그 사례로 사용자 혹은 회사가 얻은 이익은?
- 성격의 장점에 문제해결 중심적으로 사고한다고 적었는데, 대표적인 사례는?
-
잘 설명하기와 잘 질문하기
- 생각보다 많은 초보자들이 스스로 뭘 모르는지 모름(잘 알고 질문하는 경우가 현저히 적음)
- 잘 모르다보니 질문 자체도 굉장히 막연함
- 질문이 모호하다보니 답변이 불가능
- 글은 내가 읽는게 아니라 타인이 읽는 것, 남을 이해시키는 행위, 문서도 마찬가지
- 잘 모르다보니 질문 자체도 굉장히 막연함
- https://stackoverflow.com/help/how-to-ask
- RTFM (https://namu.wiki/w/RTFM)
- 선 검색, 후 질문
- 남에게 설명하다보니 나의 지식이 더 잘 이해(재정리)가 되었다.
- 생각보다 많은 초보자들이 스스로 뭘 모르는지 모름(잘 알고 질문하는 경우가 현저히 적음)
-
알고는 있는데, 설명을 잘 못하겠다 →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한 경우, 절반만 이해한 경우
-
내가 알게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게 중요
-
정리하는 습관이 중요
- 문제를 식별하자
- 내 경험을 까먹지 말고 기록하자. 기록이 자산이다.
- 예시) 문제의 인식과 해결 과정을 기록
-
“학창시절 공부 잘하는 친구에게는 주변의 다른 친구들이 다양한 질문들을 해댄다. 그 질문에 설명하는 훈련을 하면서 지식이 더욱 공고해진다”
-
-
연봉 협상도 경험이다.
- 자기계발, 연봉을 올리는 행위와 직결된 것들에는 돈(시간, 경험, 도움)을 투자해야 한다.
- 요즘 채용시장 상황이…
- 금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