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Network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parent directory

..
 
 
 
 
 
 

Network

통신하기 위한 기본 소양 🔗

목차

RESTful

REST : Representation State Tranfer 라는 용어의 약자로, 2000년도에 로이 필딩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소개.

구성

  1. 자원(Resource): uri
  2. 행위(Verb): HTTP METHOD
  3. 표현(Representations)

위와 같은 구성 때문에 REST 서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어요.

  • Uniform(유니폼 인터페이스):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하는 아키텍처 스타일
  • Stateless(무상태성):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가지지 않고, 관리하지 않는다
  • Cacheable(캐시 가능): HTTP 라는 표준을 활용하기 때문에 Last-Modified 태그 혹은 E-Tag 를 이용해서 캐싱가능
  • Self-descriptiveness(자체 표현 구조) : REST API 메세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
  • Client - Server: 역할간의 구분이 명확하고, 서로간의 의존성이 많이 줄어들게 됨
  • 계층형 구조: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조상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음

디자인 방식

  1. URI 는 정보의 자원을 표시해야 한다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 로 표현한다 (GET, POST, PUT, DELETE)

REST 이대로 괜찮은가

네이버의 그런 REST API로 괜찮은가? 를 보시면.

요즘의 RESTREST 하다고 볼 수 없는데, 대부분 uniform interface 의 특성을 만족하지 않고 있다

  • Self-Descriptiveness 한 특성들이 많이 없고 = 메세지가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설명해야 된다
    • profile 을 읽을 수 있는 link가 필요하다
  •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 (HATEOS) = Client Hyperlink로 통해서 상태를 전이해야 한다
    • 다음 상태로 요청할 수 있는 link 정보가 필요하다

이 2가지를 거의 지키지 못하고 있다 (ex) v1/book, v2/book 같은 버져닝도 문제).

그렇기 때문에 위 2가지 특성을 만족시킬 해결책으로는.

profile 링크 데이터 를 추가하면 된다.

다시말해서, HAL(Hypertext Application Language) 를 통해 Response 메세지에 링크 정보를 전달하면 된다

적용하는 방법

TCP

어떻게 연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을까?

  • 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3-way handshaking

먼저 Client는 Server에게 랜덤 난수(ISN)을 사용해서 Seq을 만들고 SYN 요청을 보낸다.

그 다음 Server는 Client가 보낸 난수+1 에 대한 응답으로 ACK를 보내고, Server도 마찬가지로 랜덤 난수로 Seq을 보낸다.

이 과정에는 접속 요청을 수락하고, 접속을 위한 Port 개방을 Client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Client는 알았다 라는 응답으로 ACK를 통해 연결이 성립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결국 커넥션이 맺어지고, 데이터를 보낼 수 있게 되는 것

ISN을 난수로 사용하는 이유?

크게 2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번째는, Connection을 맺을 때 사용하는 포트(port)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항상 재사용되는데,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과거에 사용했던 포트(port)쌍을 사용하는 가능성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서버 측에서는 패킷의 SYN을 보고 패킷을 구분하게 되는데, 난수가 아닌 순차적인 Number가 전송된다면.

이전의 Connection으로부터 오는 패킷으로 인식할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난수로 ISN을 사용한다.

두 번째 이유로는, 0 에서 시작하는 ISN은 아주 쉽게 다음 Seq Num 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TCP Sequence prediction attack 등의 공격에 매우 취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4-way handshaking

이 과정에서는 Client와 Server 둘 다 커넥션을 종료할 수 있음 에 유의하고 읽었으면 좋겠다.

  1. 먼저 close() 를 실행한 Client 쪽에서 FIN 을 보내고, FIN WAIT 상태에 돌입하게 된다
  2. 그 다음 이 요청을 받은 Server는 CLOSE WAIT 상태로 전이하고, ACK를 전달한 뒤 해당 포트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close 를 요청한다
  3. ACK를 받은 Client는 다시 FIN WAIT2 상태에 돌입한다
  4. Server에서 성공적으로 포트를 닫으면, 종료 프로세스에 돌입하고 FIN 을 전송해 LAST ACK 상태로 전이한다
  5. Client는 이때 FIN에 대한 ACK를 Server에게 보내고, TIME WAIT 상태로 전이한다
  6. 이제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Client의 TIME WAIT 상태는 풀리고, 성공적으로 CLOSED 된다. 물론 서버도 ACK를 받자마자 CLOSED 된다

이 과정에서 CLOSE WAIT 상태가 지속되거나, TIME WAIT 상태가 지속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CLOSE WAIT 가 지속된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포트를 잡고 있는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네트워크 재시작 외에는 딱히 방법이 없다.

TIME WAIT 가 지속된다는 것은, 아주 정상적인 현상이다.

TIME WAIT 이 필요한 이유는.

  • 지연 패킷이 발생한 경우, 데이터 무결성 문제 때문에
  • 원격 종단의 연결이 닫혔는지 확인해야 되기 때문에

그래서 TCP TIME WAIT무조건 60초로 상수 하드코딩 되어 있다


HTTP HTTPS

HTTP 프로토콜이란?

일명 HyperText Transfer Protocol
80번 포트가 기본 포트이며, TCP와 UDP를 바탕으로 동작한다

HTTP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 비연결(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요청을 주고 받으면 연결이 끊긴다
  • 무상태(Stateless): 연결을 끊는 순간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통신이 끝나며 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는다

하지만 연결을 계속유지하고 싶다면?

우리에겐 HTTP/1.1Keep-alive 헤더가 있으니 명시하면 된다.

But, HTTP 1.1 에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Connection당 하나의 요청만 처리 가 가능하므로.

기본적으로 Blocking 방식의 통신이라 동시전송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HOL(Head Of Line) 이라는 특정 응답의 지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많이 느리다 (순차 처리 방식)

HTTP2

그래서 구글에서 SPDY 라는 비표준형 개방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새롭게 나온 것이 바로.

HTTP/2.0 인 것이다.

2.0 에서는 평문(text) 기반이 아니라 바이너리 포멧으로 인코딩된 Message, Frame 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하나의 Connection으로 여러개의 Message를 여러개의 Frame으로 요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Multiplexed Stream 처리방식이라고도 일컫는다!

또한 HTTP Header Data Compression (HTTP 헤더 데이터 압축) 을 지원하며.

그렇기 떄문에 데이터 전송에 대한 효율을 많이 높였다 (왜냐하면 HTTP 헤더는 중복되는게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Huffman Coding에 따라 압축: 데이터 문자 빈도에 따라서 다른 길이의 부호를 사용하는 알고리즘

요렇게 중복되는 Header들을 사전에 미리 검출하고, 중복되지 않은 값은 Encoding 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아직 정식으로 발매되지 않은 HTTP/3.0 은 Google의 QUIC 을 바탕으로한 UDP 방식이니 참고드린다.

관심있으면 더 찾아보자


HTTPS

쉽게 이야기하면 HTTP 에서 TLS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하는 방식이다.

HTTPS 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 기밀성: 공공 매체에서 두 참여자간의 통신을 보호하기 위함
  • 무결성: 변조되지 않는 정보로 목적지에 도달하게 하기 위함
  • 인증: 웹 사이트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위함

HTTPS 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암호화 방식은 결국 대칭키 / 공개키 방식이다.

  • 대칭키: 통신하고자 하는 서로의 당사자들이 공통 비밀 키를 공유한다
  • 공개키: 당사자 중 한쪽이 비밀키와 공개키의 쌍을 가진다

HTTPS에서 안전한 연결을 기반으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공개키 방식으로 서로의 대칭키를 주고 받는 방식이다.

  1. Client Hello: Client가 Server에게 연결을 맺기 위해 랜덤 난수 와 함께 요청한다

  2. Server Hello, Certificate: Server는 Server 측의 랜덤 난수 와 함께 서버가 가지고 있는 인증서 를 응답으로 전송한다

  3. ClientKeyExchange: Client는 Server가 발급해준 인증서를 확인하기 위해, Client의 내장된 CA 리스트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CA에 내장된 공개키 를 이용해서 인증서를 복호화한다 ( 복호화하면 Server의 공개키가 존재한다 )

  4. ChangeCipherSpec: Client는 위 과정에서 Server의 랜덤 난수와 본인의 랜덤 난수 를 이용해서 pre master secret 을 제작하고, Server의 공개키로 암호화해서 전송한다.

    이때 pre master secret이 바로 앞으로 통신에 사용될 대칭키다

  5. ChangeCipherSpec: Server는 Client로부터 받은 pre master secret 을 공개키의 비밀키로 복호화하고, master secret 으로 세션 키 를 생성해서 Client와 정상적으로 HTTPS 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참고

SNI(Server Name Indication)

TLS의 확장 표준중의 하나로, 인증서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TLS에서 가장 큰 단점중의 하나인, 인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신은 암호화하지 않고 진행 되는 단점이 있다.

SNI를 사용하게 된다면, 이 인증과정에서 SNI 패킷을 주고 받아야하고, SNI 패킷에 기록된 도메인을 바탕으로 특정 웹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그래서 정부에서도 위와 같은 약점을 이용해서 특정 도메인에 대한 패킷을 모니터링한 것이다.

어떻게 하면 HTTPS 인증 과정에서 도청당하지 않을 수 있을까?
바로 TLS 1.3 버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Encrypted Server Hello 방식을 택해서 인증 과정에서도 암호화를 진행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자

Chorme에 www.naver.com 을 입력하면?

우리가 잘 사용하고 있는 chorme에 www.naver.com 을 입력하면 어떻게 될까?

앗 여기서 꿀팁, 참고로 chorme에서 새 탭 을 누르면, 쓰레드가 생성되는 것이 아닌, 프로세스가 생성된다

  1. 먼저 브라우저에서 URL을 분석합니다

    이때, URL 구조에 맞으면, 명시했던 scheme 을 이용해서 protocol을 바탕으로 요청을 보내고.

    URL 구조에 맞지 않으면, 사용중인 웹 브라우저의 검색 엔진으로 입력어를 검색합니다.

  2. 이제 URL 을 인식했으니, 실제 서버의 IP 주소를 알아와야하기 때문에, DNS 로 내가 접근하려는 name의 IP 주소를 요청하게 됩니다

    이 경우의 Flow 는.

    1. Local DNS server의 cache를 먼저 확인해서, 이전에 접근했던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있으면 그 주소를 사용한다
    2. 없을 경우, DNS 시스템에 따라 Root - TLD(Top Level Domain) - Authorative server에 ip 주소를 물어본다
  3. IP 주소를 받았으면, 그 다음에는 ARP 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내가 접근해야할 IP 주소의 MAC 주소 를 추적합니다

    OSI 2계층에 해당하며,

    1. 동일 Subnet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router 내에 존재할 경우, rounting table을 추적하여 MAC 주소를 알아낸다
    2. 이때 local Network(동일 Subnet X)이 아닌경우, gateway를 타고 밖으로 나가야한다 ( 이 과정에서 ARP를 broadcasting )
    3. 상대방의 IP 주소와 MAC 주소를 받으면, 다시 DNS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4. DNS에서 53번 포트를 통해 UDP로 실시하며, 데이터가 큰 경우 TCP로 진행한다
  4. 대상과 TCP 를 통해서 Socket을 열고 맺는 단계를 시작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그 3-way-handshaking 이다

  5. HTTPS 라면, TLS 과정이 추가된다

    TLS 과정은 간단히 말하면, 공개키와 대칭키 방식을 사용해서.

    공개키로 대칭키를 주고 받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끝나면 대칭키로 암호화해서 통신하게 된다

  6. HTTP/S 프로토콜로 정상적인 요청을 보낸다

    1. Client가 서버에 HTTP GET을 전송한다
    2. HTML 에서 참조하는 모든 페이지(image, css, favicon.ico 등)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한다
  7. 응답을 받으면 이제 웹 브라우저를 그리면 된다!

    응답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받게되고,

    웹 브라우저를 그리기 위해서는,

    구문 분석(HTML CSS JS) + 랜더링( DOM Tree 구성 - 랜더 트리 구성 - 랜더트리 레이아웃 배치 - 랜더트리 그리기 )을 하고,

    HTML parsing, CSS parsing, Page Rendering, GPU Rendering을 통해 그림을 그려낸다

OAuth

인증(Authentication) 과 리소스에 대한 권한부여(Authorization) 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그래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access token 기반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쿠키와 세션을 이용해.

client의 상태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OAuth를 구성하고 있는 4가지 객체

  • Resource owner: 보호된 자원에 접근하는 권한을 제공
  • Resource server: access token을 사용해서 요청을 수신할때, 권한을 검증하고 적절한 결과를 응답
  • Client: Resource owner의 보호된 자원에 접근 요청을하는 어플리케이션
  • Authorization server: client가 성공적으로 access token을 발급받은 이후에 resource owner를 인증하고 권한부여를 실시하는 자

OAuth Flow

  1. Client가 Resource owner 혹은 Resource Server에게 권한 요청을 실시
  2. Resource owner가 허가하면, Grant(증서)를 발급받게 됨
    1. Authorization Code: client가 owner에게 권한을 받는 것이 아닌, owner가 Authorization Server에게 권한을 허가 받아서 Authorization Code 를 client에게 발급해주고, client는 발급받은 Code 를 이용해서 Server에게 access token을 발급받는 과정
    2. Implict: 1번 과정을 간소화한 과정, Authorization Code를 발급하는 과정이 생략된 것이다
    3. Client Credentials: Client가 곧 Resource Owner일 경우, 자신을 인증할 수 있는 정보를 Authorization Server에게 보내면서 access token을 발급받는 과정
    4. Resource owner Password Credentials: 자원 소유자의 password를 활용해서, access token을 얻기 위한 Grant(증서)로 활용
  3. 권한 Grant(증서)를 받은 client는 Authorization Server 에게 access token을 요청함
  4. 권한 Grant(증서)를 통해 유효성을 검증하고, client에게 access token을 전달
  5. 아래로는 client가 정성적으로 access token을 이용해서 자원을 요청하고 응답하는 과정

Refresh Token

Access Token 에도 분명 유효기간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이 토큰이 만료된다면.

새로운 Access Token 을 발급받아야하고, 이 과정에서 Refresh Token 이 활용된다.

처음 권한 Grant(증서)를 owner로부터 받을때 이 Refresh Token을 같이 송신하여.

다음번 Access Token 발급시에는 Refresh Token만을 이용해서 재발급 받을 수 있게 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