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es: 5 comments 1 reply
-
저도 이번에 record를 처음 사용해보았는데 굉장히 편리하더라구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는 DTO에 Record 사용하는 것에 찬성합니다! 롬복 의존성을 제거하는 것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또, 어떤 책에서 읽은 기억이 나는데 DTO의 기능을 제한시킬 수 있다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class로 하면 데이터만 담는 dto에서 다른 행위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record로 강제성을 부여하는 점이 좋다고 생각했네요!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저도 한 번 사용해보니 편하더라고요! 그런데 저도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만창일치로 record로 dto를 생성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
두레 백엔드 프로젝트에서, 모든 Dto를 Record로 생성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가 Dto에 Record 도입을 주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Allargsconstructor
제거 가능)그러나 Record는 모든 필드에 대해서 public getter를 열어둔다는 점이 있고, 해당 getter의 형식이
.getXXX()
가 아니라.XXX()
라서, Record로 선언한 객체를 다시 Class로 변경하면 해당 getter들을 모두 수정해줘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대도 마찬가지) 그러나 이 점은 Record를 Dto에만 사용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한편 @amaran-th 는 어떤 Dto는 Class고, 어떤 Dto는 Record면 코드를 읽을때도, 유지보수할 때도 혼란이 올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을 주셨어요. 그래서 도입할거면, 컨벤션으로 정하는게 어떤가 합니다!
Beta Was this translation helpful? Give feedback.
All re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