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put()
한 줄 단위로 입력받는다.
a, b = input().split()
split()을 이용하면 split의 매개변수를 기준으로 입력값을 잘라서 저장한다. split 의 기본 매개변수는 공백이다.
Ex)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받기
a, b = input().split()
입력: 1 2
a에 1, b에 2가 저장된다.
Ex) ,을 기준으로 입력받기
c, d = input().split(',')
입력: 1,2
c에 1, d에 2가 저장된다.
10진수를 입력받아 16진수로 출력하기
# 16진수 대문자 - %X
a = int(input())
print("%X" %a)
# 16진수 소문자 - %x
b = int(input())
print("%x" %b)
c = int(input())
print("%o" %c)
n = ord(input())
print(n)
ord()
를 이용하면 문자를 10진수 유니코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 ord = ordinal position(어떤 문자의 순서 위치)
- A: 65, B: 66 ...
- 컴퓨터에 문자를 저장할 때 유니코드랑 아스키코드를 많이 사용한다.
n = int(input())
print(chr(n))
chr()
를 이용하면 정수값을 문자로 바꿔준다.
ord()
와 반대다.
format을 사용하면 지정한 소수점 아래자리 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한다. (원하는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 된 실수값을 만들어준다.)
ex) 실수 1개를 입력받아 소숫점 이하 두 번재 자리까지 정확도로 반올림한 값
a = float(input())
print(format(a, ".2f"))
-
문자열끼리 더하기(+)를 하면, 두 문자열을 합쳐서 연결한 결과를 만들어낸다.
-
, 로 연결하면 띄어쓰기된 채로 연결된다.
print("김"+"혜수") #출력: 김혜수
print("김", "혜수") #출력: 김 혜수
문자열 * 정수
혹은 정수 * 문자열
은 그 문자열을 여러번 반복한 문자열을 만들어준다.
s = "알고리즘"
print(s * 3)
# 출력: 알고리즘알고리즘알고리즘